popup zone

개설 교과목

학수번호 교과목명 전공구분 학년 개설학기
1 불교문화재입문 기초 1 1
2 문화재학개론 기초 1 2
3 한국미술사 기초 2 1
4 불교고고학개론 기초 2 1
5 불교공예사 기초 2 1
6 문화재보존과학개론 기초 2 1
7 동양미술사 기초 2 2
8 불교유적유물의이해 기초 2 2
9 불교회화사 기초 2 2
10 박물관과소장품 기초 2 2
11 불교무형문화재 전문 3, 4 1
12 한국건축사 전문 3, 4 1
13 불교고고학실습 전문 3, 4 1
14 문화재재료연구 전문 3, 4 1
15 세계문화유산 전문 3, 4 1
16 미술사연습 전문 3, 4 2
17 한국조각사 전문 3, 4 2
18 한국사찰의역사와문화 전문 3, 4 2
19 문화재관리론 전문 3, 4 2
20 문화재의활용과정비 전문 3, 4 2

교과목 해설

  • 불교문화재입문 (Introduction to Buddhist Cultural Heritage)

    불교 문화재의 전반적인 개설과 불교문화권의 다양한 역사와 문화 등을 학습하여 물질문화와 정신문화가 혼합된 종교 미술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불교 문화재 연구, 보존, 활용의 기초 소양 함양을 목표로 한다.

    Students learn about the overall establishment of Buddhist cultural heritage as well as the diverse history and culture of the Buddhist world. Students also gain an understanding of religious art, which is a combination of material and spiritual culture. The overall aim of this course is to provide an introductory understanding of the research, preservation, and application of Buddhist cultural heritage.

  • 문화재학개론 (Introduction to Cultural Heritage)

    문화재의 개념과 유형 및 분류를 비롯해 문화재 행정과 정책, 문화재 관리, 문화재의 전승 및 활용과 연관 산업, 문화재 보호와 법규, 국제조약 등 문화재학 관련 전반적인 개설을 이해하게 함으로써 문화재 전문 인력 양성의 기초를 마련한다.

    This course provides a foundation for fostering the next generation of cultural heritage experts. Through this course, students will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types, and classification of cultural heritage. Various concepts related to the establishment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will be explored as follows: administration, policies, maintenance, industries related to transfer and application, protection, regulations, and international treaties.

  • 한국미술사 (Korean Art History)

    한국미술의 역사적 흐름을 선사시대부터 근대까지 조각, 회화, 공예, 건축으로 나누어 한국미술의 특징과 변화을 체계적으로 학습한다. 이를 바탕으로 향후 진학과 현장실무 등에 필요한 필수 지식을 함양한다.

    The history of Korean art from prehistoric to modern times is studied within the categories of sculpture, painting, crafts, and architecture. The characteristics of and periodic changes in Korean art are systematically examined to provide foundational knowledge essential to future work and experiences in the field.

  • 불교고고학개론 (Introduction to Buddhist Archaeology)

    불교고고학 강좌를 처음 접하는 학생들에게 학문의 성격과 기본적인 방법론을 설명하고 구석기시대부터 통일신라시대에 이르기까지 각 시대별 문화의 특징과 기초 내용을 개설함으로써 개별 시대사 강좌를 이해하기 위한 기본 지식을 습득케 한다.

    Geared towards those new to Buddhist archaeology, students gain a basic understanding of the academic discipline and its theories or methodologies. The course covers material from the Paleolithic to the Unified Silla period, focusing on providing students with the fundamental knowledge necessary to understand each period’s culture and identifying characteristics.

  • 불교공예사 (History of Buddhist Crafts)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불교 공예의 발전 과정을 중심으로 금속공예와 목공예 등의 양식변화, 제작 방법과 기법, 장인 등을 체계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시대에 따른 기법 및 조형적 특징을 파악한다.

    This course is a systematic study of Buddhist crafts in Korea and their development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o the Joseon dynasty. Focusing on aspects such as stylistic changes, production processes. techniques, and craftsmen, the students will learn to identify periodic techniques and sculptural features of crafts across a variety of mediums like metal or wood.

  • 문화재보존과학개론 (Introduction to Conservation Science in Cultural Heritage)

    문화재에 새 생명을 불어 넣어 후대까지 이어주는 보존과학의 개념과 연구방법 등을 금속·목재·도토기·회화류 등 문화재의 재질별 보존처리 방법을 중심으로 설명함으로써 보존과학에 관한 기초 개념을 이해한다.

    Conservation science is an academic field that gives new life to artifacts to ensure their longevity for future generations. Students aim to understand the fundamental concept of conservation science by learning about underlying ideas of the academic field and its research methods. The course explores how conservation science is employed in different mediums such as metal, wood, ceramics, and painting.

  • 동양미술사 (East Asian Art History)

    인도 및 중앙아시아, 중국과 일본의 다양한 문화 교류와 그 현상인 미술의 특징을 상호연관성과 차별성 및 특징을 학습한다. 이를 통해 동양 문화의 공통점과 고유성을 이해하고, 그 속에서 우리나라 미술과의 연관성과 독자성을 학습한다.

    East Asian art is the result of diverse cultural exchange between regions such as India and Central Asia or China and Japan. These interconnected relationships and their influences are studied within the context of East Asian art to identify distinguishing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s art. Students also identify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East Asian cultures, with a particular focus on Korean art and how it relates to but is also unique among the art of its neighboring regions.

  • 불교유적유물의이해 (Understanding Buddhist Historical Sites)

    인도와 중국, 한국, 일본의 주요 사원지에 관한 발굴 조사 현황을 개괄하고, 절터 발굴에서 드러난 주요 건물지와 가람배치, 수막새와 암막새 등의 기와 자료에 대한 기초적인 정리와 분석 방법을 고고학적 방법론에 기초하여 해석하는 기초지식을 배운다.

    This course outlines the status of excavation surveys undertaken at major temple sites in India, China, Korea, and Japan. Students establish a working knowledge of how to employ archaeological methodologies to study, analyze, and then interpret the findings of temple site excavations. Materials covered in this course include the structure and arrangement of buildings at the temple site as well as different types of giwa, or roof tiles.

  • 불교회화사 (History of Buddhist Painting)

    인도와 중국의 석굴 벽화부터 우리나라의 고려 불화, 조선 불화의 전개 양상을 고찰하고, 불교회화의 제작 과정, 화승, 도상과 양식 및 각 지역과 시기별 차이를 체계적으로 탐색하여 불교회화의 전개과정을 이해한다.

    Students examine the development of Buddhist paintings, beginning with the wall paintings of Indian and Chinese stone cave temples to the Buddhist paintings of the Goryeo and Joseon dynasties. The course provides a systematic approach to examining the production background, painter-monks, iconography, style, and regional or periodic characteristics of Buddhist paintings in order to understand the overall development of Buddhist painting.

  • 박물관과소장품 (Museums and Their Collections)

    세계와 한국 박물관의 역사부터 박물관의 종류와 기능, 소장품 등록과 출납, 소장품 다루기, 전시기법, 전시기획, 전시 교류, 박물관 교육, 어린이박물관 등을 전반적으로 이해하게 함으로써 향후 사회에 진출하여 관련 분야에 종사하게 될 때 현장에서 직접 활용할 수 있는 실무능력을 배양한다.

    Students gain a general understanding of museums in Korea and around the world by studying their history as well as the different types and functions of museums. Other aspects studied in this course include exhibition planning, exhibition exchange, display techniques, museum education, children museums, and collection registration, accounting, and maintenance. The course aims to equip students with practical skills that can be applied in their respective professional fields post matriculation.

  • 불교무형문화재 (Buddhis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한국 불교의 주체성과 역사, 예술적 가치를 담고 있는 불교 무형문화재를 수륙재, 영산재 등 불교 의례·의식과 단청기술, 불화 제작 등 사찰 속 문화 전승을 학습한다. 이와 불교문화재를 연결하여 다각적으로 연구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는 문화 유산 융합 교육을 실현한다.

    Buddhis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embodies the independence, history, and artistic value of Korean Buddhism. Students study specific examples such as the Buddhist ceremonies and rituals of Suryukjae and Yeongsanjae, Dancheong painted decoration of Buddhist structures, and the production of Buddhist paintings in order to examine the transmission of culture within temples. By considering Buddhis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in connection to tangible examples, students participate in a program of convergence education on cultural heritage, and develop the capability of taking a well-rounded approach to researching Buddhist art.

  • 한국건축사 (Introduction to Korean Architecture)

    한국 건축의 기원과 변화를 각 시기별로 다루고, 불교건축, 유교건축, 궁궐건축, 민간건축 등 세부 분야의 특징과 차이를 학습하여 우리나라의 건축기술과 사상, 생활 방식 등 건축 문화의 특성에 대해 이해한다.

    The primary purpose of the course is to learn about the origin of and changes in Korean architecture by period. Students will also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and differences between various types of architecture as seen in Buddhist, Confucian, palace, and civil structures. The culmination of the course will result in an understanding of the distinguishing aspects of Korean architecture which are reflected in its techniques, theories, and the Korean lifestyle.

  • 불교고고학실습 (Buddhist Archaeology Practicum)

    고고학 발굴에서 드러난 석기·기와·토기·자기 등의 물질자료를 관찰하고 표현하며 정리하는 방법과 관련하여 유물의 실측과 탁본, 사진 촬영 등의 기본적인 방법을 연습하고, 소그룹별로 특정한 주제를 선정하여 자료의 조사, 정리 및 발표를 실시하는 기초적인 소양을 배양한다.

    The practicum is an opportunity for students to observe and handle materials discovered from archaeological excavations such as stoneware, giwa (roof tiles), earthenware, and ceramics. Students will practice the basic methods of organizing and handling archaeological artifacts such as taking measurements, creating rubbings, and photographing objects. Learned skills will be employed in the form of small group research projects on a specific topic to be decided in class.

  • 문화재재료연구 (Research on Cultural Heritage Materials)

    금속·목재·석재·지류·회화·섬유·도토기 등 유물의 재질에 따른 손상에 대한 원인 규명, 예방 보존 및 보존처리 방법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와 실무능력을 배우고, 과학적 분석을 위한 최첨단 측정 분석 방법과 성과에 대한 이해를 통해 보존처리 실무능력을 배양한다.

    Students gain a basic understanding of preventative conservation and preservation treatment of cultural heritage through an investigation into the causes of damage to materials by medium including metal, wood, stone, paper, painting, textiles, and ceramics. By learning the most innovative methods of measurement and suitable approaches to analyzing the results of scientific research, students acquire the practical skills required for the con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materials.

  • 세계문화유산 (World Heritage Sites)

    문화유산의 개념적 기초, 세계유산의 종류와 개념, 등재 절차와 실사과정, 신청서 작성과 평가방법 등을 이해하고, 한국에서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유산이 가진 역사성, 탁월한 보편적 가치, 등재 기준, 유산에 대한 상세 설명 등을 체계적으로 학습한다.

    In this course, students establish a basic understanding of world heritage sites. Types of world heritage sites, the registration process, due diligence, and the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applications are discussed. World heritage sites in Korea are examined in detail with particular emphasis on historical characteristics, universally acknowledged value, and the criteria for registration.

  • 미술사연습 (Art History Practicum)

    박물관, 미술관 등에 소장되어 있는 실물자료에 대한 이해와 관찰을 기초로 조각, 회화, 공예, 건축을 분야별 대표적인 연구성과를 학습하고, 미술사의 연구 방법론과 최신 연구 동향에 대한 발표와 토론을 통해 미술사 연구 능력의 기초를 배양한다.

    Direct observation and a basic understanding of materials in museum collections provides the foundation for students to learn about past and current scholarship on different types of art including sculpture, painting, crafts, and architecture. Students develop individual competence as scholars of art history by participating in discussions and making presentations on research methodologies utilized in the field of art history and the direction of current research.

  • 한국조각사 (History of Korean Sculpture)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 한국 조각의 흐름과 변화를 이해하고 불상과 관련된 문헌 기록, 명문을 분석하고 불상의 명칭과 연대, 제작자, 특징을 학습하여 동아시아 조각에서 한국 조각의 특수성을 파악하게 한다.

    Students gain an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 of and changes in Korean sculpture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o the Joseon dynasty. In combination with a study of relevant historical records, the naming and dating of sculptures, the sculptor, and identifying characteristics, students will be able to discern the aspects of Korean sculpture that make it unique within the general scheme of East Asian sculpture.

  • 한국사찰의역사와문화 History and Culture of Korean Temples

    삼국시대부터 통일신라, 고려시대에 이르는 한국의 주요 사찰에 남아 있는 불탑과 불전 등 현존 자료의 일부를 선정하여 소집단별로 자료의 수집과 정리 및 분석 과정을 발표·토론함으로써 불교 사찰이 가진 역사와 문화의 가치를 이해하고 불교고고학 방법론을 실제 유적·유물에 적응시키는 연습을 실시한다.

    This course covers the Buddhist pagodas and halls still extant in the main Korean temples of the Three Kingdoms, Unified Silla, and Goryeo periods. Students will study a portion of the Buddhist structures and materials that remain to us today, and present or debate their findings by group. The course aims are to understand the value of the history and culture of Buddhist temples in addition to practicing the application of Buddhist archaeology theory to actual historical sites and artifacts.

  • 문화재관리론 Con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문화유산 관리의 기초이론, 국가지정 문화재의 등록 등 한국의 문화재 관리제도, 건축문화재·동산문화재·매장문화재·무형문화재 등의 관리와 활용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습득하여 문화재의 보존과 활용에 필요한 정책 및 기획, 행정 운영에 관한 실무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Students will acquire a working knowledge of basic theories and practices related to nationally designated Korean cultural heritage and the policies developed for their conservation. The primary concepts covered in this course are the maintenance and applications of architectural, movable, buried, intangible, and other types of cultural property or heritage. By the end of the semester, students will possess practical capabilities related to the policies, plans, and administrative management required for the conservation and application of cultural heritage.

  • 문화재의활용과정비 Applications of Cultural Heritage

    국내외 주요 사찰이나 문화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유무형의 불교 문화유산에 대한 활용 현황, 예를 들어 불교 관련 매장문화재의 활용과 정비 현황, 사찰 성보박물관의 운영 현황과 활용도, 불교 문화재의 디지털화와 방법 등을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비교 분석하여 불교문화재의 바람직한 보존 및 활용 방법을 모색하도록 한다.

    This course is a deliberation of issues regarding the proper conservation and application of Buddhist cultural heritage. Students conduct in-depth comparative research on case studies of important temples in Korea and abroad, in addition to the current applications of intangible and tangible Buddhist cultural heritage as implemented in cultural institutions. Specific examples include the application and maintenance of buried cultural property in Buddhist settings, the operation status of Buddhist museums in temples, and ongoing efforts to digitize Buddhist cultural herit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