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pup zone

개설 교과목

학수번호 교과목명 전공구분 학년 개설학기
BIS2001 불교학입문 기초 1 1
BIS2002 불교의수행과신행 기초 1 1
BIS2003 인도의철학과문화 기초 1 2
BIS2004 선의이해 기초 1 2
BIS2006 불교한문 기초 2 1
BIS2008 인도불교사 기초 2 1
BIS2009 인도선사상 기초 2 1
BIS2010 초기불교 기초 2 1
BIS2012 중국불교사 기초 2 1
BIS2013 한국불교사 기초 2 1
BIS2014 정토학 기초 2 1
BIS2015 선과현대사회 기초 2 1
BIS2017 불교교단사 기초 2 2
BIS2019 고전요가 기초 2 2
BIS2020 자이나사상 기초 2 1
BIS2021 아비달마 기초 2 2
BIS2023 중국선사상 기초 2 2
BIS2025 반야사상 기초 2 2
BIS2027 승가수행학(I) 기초 1.2 1
BIS2028 승가수행학(Ⅱ) 기초 1.2 2
BIS2031 범어입문 기초 2 1
BIS2034 종교학개론 기초 1.2 1
BIS2035 한국선사상과조계종사 기초 1.2 2
BIS2036 불교문화의이해 기초 1.2 1
BIS2040 불교ㆍ법ㆍ경영 기초 1.2 1
BIS2041 융복합적 종교심리와 경전해석 기초 2 2
BIS2042 세방화시대영어와불교 기초 1.2 1
BIS2045 불교언어와문헌 전문 1.2 1
BIS2046 동남아시아불교 기초 1.2 2
BIS4002 계율학 전문 3.4 1
BIS4004 중관학 전문 3.4 1
BIS4005 천태학 전문 3.4 1
BIS4006 한국선문헌연습 전문 3.4 1
BIS4007 유식학 전문 3.4 1
BIS4011 인도인식논리학 전문 3.4 2
BIS4014 동아시아대승불교 전문 3.4 2
BIS4017 선문화론 전문 3.4 2
BIS4018 사찰경영과종무행정 전문 3.4 1
BIS4019 불교생태학 전문 3.4 1
BIS4022 간화선실습 전문 3.4 1
BIS4027 불교사상과서양철학 전문 3.4 2
BIS4032 위빠사나의이해와실습 전문 3.4 2
BIS4033 화엄학 전문 3.4 2
BIS4036 중국선문헌입문 전문 3.4 1
BIS4037 근현대인도사상 전문 3.4 1
BIS4039 여래장의이해 전문 3.4 2
BIS4040 불교사회경제사상 전문 3.4 2
BIS4041 불교의례의식(Ⅰ) 전문 3.4 1
BIS4043 불교의례의식(Ⅱ) 전문 3.4 2
BIS4045 한국불교사상과한국종교 전문 3.4 2
BIS4046 종교심리학 전문 3.4 1
BIS4047 세계종교 전문 3.4 2
BIS4049 명상과아동·청소년상담 전문 3.4 2
BIS4053 선심리상담이론과실제 (캡스톤디자인) 전문 3.4 2
BIS4055 불교윤리학 전문 3.4 2
BIS4056 인도의신화와문학 전문 3.4 2
BIS4057 명상과 가상현실 전문 3.4 1
BIS4058 인도고대철학 전문 3.4 1
BIS4059 초기경전산책 전문 3.4 1
BIS4060 돈황학 전문 3.4 2
BIS4061 일본의불교와문화 전문 3.4 1
EGC2047 만해와불교의민족운동 인문 전체 1
EGC2049 만해와근대지성 인문 전체 2
EGC2050 근현대고승열전 인문 전체 2
EGC2075 만해의생애와사상 인문 전체 1
EGC2081 21세기생명생태철학 인문 전체 공통
EGC2084 오리엔탈리즘과불교 인문 전체 공통
EGC2111 인간과로봇의공존시대 인문 전체 공통
EGC2116 불교와스토리텔링 인문 전체 공통
EGC5011 로봇의 행복, 인간의 행복3 융복합 전체 공통
EGC9006 인도불교이야기 인문 전체 공통
ERC1034 종교교육론   3.4 1
ERC2034 종교교재연구및지도법   3.4 2
GCR2002 행복학의인문학적문제들 인문 전체 공통
GCR2004 현대요가와자기이해 인문 전체 공통
GCR3002 동남아시아와불교문화 사회 전체 공통
GCR4004 종교와과학 융복합 전체 공통
GCR7003 일본,문학,그리고불교 문화예술체육 전체 공통
RGC0003 불교와인간 자아성찰 1 공통
RGC0017 자아와명상1 자아성찰 1 공통
RGC0018 자아와명상2 자아성찰 1 공통
BIS4062 티벳의언어와문화 전문 3.4 1
BIS4063 빨리어입문 전문 3.4 2
BIS4064 히말라야불교산책 전문 3.4 2

교과목 해설

  • BIS2001 불교학입문 (Introduction to Buddhist Studies)

    현재 불교학이 다루고 있는 전반적 분야를 -불교사상을 중심 내용으로 하는 불교교학, 불 교발전을 다루는 불교사학, 현대사회에서 요구되는 각종 문제들과 접목되어 발전되고 있는 응용불교분야 등- 접해볼 수 있는 과목이다. 또한 인도, 중국, 한국, 일본 등 지역적으로 발전했던 불교의 양상과 지금까지의 연구성과도 소개함으로써 앞으로 불교학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고찰해본다.

    Introduction to Buddhist Studies familiarizes students with areas that Buddhist Studies currently covers - a study of Buddhist doctrine based on Buddhist ideas, history of Buddhism that deals with the development of Buddhism and applied Buddhist studies that have improved by linking to various issues important in modern society. This class also introduces students to research findings and regional development of Buddhism in India, China, Korea and Japan and explores the future of Buddhist Studies.

  • BIS2002 불교의수행과신행 (The Buddhist meditation and regional practice)

    기초수행법의 이해와 실수를 통해 불교의 기초수행을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수행의 초석을 다진다.

    Understanding of the basic Buddhist meditation and cultivating the basis for Seon meditation through the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the basic methods of the Buddhist meditation.

  • BIS2003 인도의철학과문화 (Philosophy and Culture in India)

    인도 철학과 인도 불교를 인도라는 사회 문화적 배경에서 올바르게 이해하도록 한다. 인도 에서 철학적이고 종교적인 사유가 생겨나고 발전하는 과정들을 인도의 사회, 문화, 정치, 예술 등과의 연관 속에서 역사적으로 폭넓게 조명한다.

    This lecture aims at understanding Philosophy and Culture originated from India. through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It will follow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Indian thought including Indian Buddhism through examining the social, political, literary, and artistic background.

  • BIS2004 선의이해 (Study of Seon[Chan/Zen])

    붓다의 생애를 근거로 선의 개념과 주요사상을 이해한다. 동아시아의 선수행의 역사, 문화 를 통해 선의 의미를 비교 분석한다. 또한 한국을 비롯한 세계 곳곳에서 이루어지는 템플스 테이의 현황과 그 중심내용을 고찰해 본다.

    Students will understand the concept of and major ideas of Seon. Students will analyze the meaning of Seon through a study of Seon history and the culture of East-Asian Chan(Seon). Students will also study the present temple-stay programs which are widely offered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 BIS2006 불교한문 (Buddhist Classical Chinese)

    한역경전연구의 기틀을 마련하기 위해 한문불전의 구조와 의미를 분석하고 이해하고자 한다.

    This course aims at improving students' reading ability of Buddhist classical Chinese. In this course, we read some Buddhist texts written in classical Chinese, focusing its grammar and syntax.

  • BIS2008 인도불교사 (History of Indian Buddhism)

    불교의 흥기에서부터 회교도의 침입으로 불교가 인도에서 자취를 감출 때까지의 인도불교 전반을 역사적으로 개관하여, 불교의 뿌리요 원류인 인도불교를 쉽고 정확하게 이해하도록 하는 데에 중점을 둔다.

    The origin, development, and decline of Indian Buddhism ; historical outline of general Indian Buddhism : to focus on easy and exact understanding of Indian Buddhism that is origin of Buddhism.

  • BIS2009 인도선사상 (Indian Seon Thoughts)

    초기불전에 나타난 선정의 내용 및 수행방법, 부파불교 및 대승불교의 선사상과 수행법 등 인도선의 역사와 주요사상, 수행방법 등 인도선의 기본개념들을 종합적으로 살핀다

    A survey of basic concepts in Indian meditation such as the major thoughts, the meditative methods and its history.
    1. The meditation and its methods described in the Early Buddhist literature.
    2. The thoughts and meditative methods in the Abhidharma and Mahayana Buddhism.

  • BIS2010 초기불교 (Early Buddhism)

    인도철학 사상에 큰 자취를 남기고 있는 초기 불교를 붓다 당시 사상계와의 연관관계에서 파악한다. 베다와 우빠니샤드를 중심으로 하는 힌두사상과 자이나를 중심으로 하는 자유 사상과의 연관관계에서 초기 불교의 기본 교리들이 어떤 과정을 거치면서 확립되었으며, 어떤 방향으로 발전하게 되었는가를 집중적으로 검토한다.

    In order to understand Korean Buddhism,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what the original buddhism may be and how it has developed from its very early stage. This lecture surveys Early Indian Buddhism through examining the internal doctrinal development and the external relationship between Buddhism, Jainism, and Brahmanism.

  • BIS2012 중국불교사 (History of Chinese Buddhism)

    중국사상의 거대한 산맥의 하나로까지 발전한 중국불교, 2천여 년간이나 그들의 정신적 지주가 되어온 중국불교의 역사와 문화, 그리고 사상을 전체적으로 개관하는 데 그 목적을 둔다. 따라서 인도불교의 연장선상에서 바라보는 중국불교가 아니라, 독창적인 입장의 중국불교를 이해하도록 한다. 아울러 불교가 당시의 정치와 경제, 그리고 사회문화 전반에 끼친 영향 등도 다루게 될 것이다.

    Chinese Buddhism has developed with one of the enormous mountain ranges in Chinese Thoughts. This course surveys the historical and cultural background of Chinese Buddhism which became the mental anchor to Chines people during 2,000 years in their history. It helps students to understand the original position of Chinese Buddhism, not the serial of Indian Buddhism. In particular, students will focus on their study that Chinese Buddhism had influences on politics, economy, culture and the whole society in China.

  • BIS2013 한국불교사 (History of Korean Buddhism, Korean Buddhism History)

    인도불교와 중국불교를 주체적으로 소화한 한국불교는 ‘한국화 된 불교’이자 소승과 대승 을 넘어선 일승불교 및 일대승 불교라고 할 수 있다. 한국불교는 ‘물리적 종합’(비빔)과 ‘화 학적 삼투’(곰/달임)의 과정을 거쳐 신라시대에는 ‘민족불교’를, 고려시대에는 ‘한국불교’를 형성하면서 이 땅의 고유한 사상과 문화로 자리를 잡았다. 조선시대에는 자생불교의 터전 을 일구어 국난을 슬기롭게 이겨내는 중추 역할을 하였고, 대한시대에는 민족문화의 중심 으로서 새롭게 자리매김해 나갔다. 이 강의에서는 인도와 중국을 거쳐 받아들이면서도 중 도와 연기에 기초한 불교의 원류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이 땅에서 체화되고 육화되어 온 한 국불교의 보편성과 특수성을 규명해 봄으로써 국제사회에 한국불교에 대한 인식과 이해의 지평을 넓히고자 한다. 아울러 한민족의 정체성과 인식틀의 근간이 되어온 불교의 역사와 철학의 지평을 살펴봄으로써 이 땅의 문화와 사상에 대한 온전한 이해를 모색해 본다.

    Korean Buddhism, which treats Indian Buddhism and Chinese Buddhism subjectively, is a 'localized Buddhism' and one vehicle Buddhism or one Mahayana Buddhism beyond Mahayana and Hinayana. Korean Buddhism has become the unique philosophy and culture of Korea while forming 'national Buddhism' in the era of Sinra and 'Korean Buddhism in the era of Goryeo after the process of 'physical synthesis'(mix) and 'chemical osmosis'(boiling). It played a pivotal role to overcome national crisis wisely by cultivating the foundation of independent Buddhism in the era of Joseon and it conformed its new position as a center of national culture in the era of Daehan. The purpose of this lecture is to enlarge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Korean Buddhism in the international society by clarifying universality and specialty of Korean Buddhism, which has been congested and incarnated in Korea without escaping from the original flow of Buddhism based on middle way and conditioned arising although it was introduced via India and China. Furthermore, it will search for the sound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and philosophy by researching history and philosophy of Buddhism, which has been the foundation of identity and recognition frame of Korean people.

  • BIS2014 정토학 (Study of Pureland-Buddhism)

    대승불교의 초기에 성립된 타력신앙의 대표적인 불교사상인 정토교학과 그 실천방법을 교 수하고, 불교의 내세관을 정립시키며, 정토문화를 강의하고자 한다.

    The goal of this class is to deliver lectures on the pure land doctrine and its practicing method to establish the Buddhist views of the other world, and to instruct the pure land Buddhist culture.

  • BIS2015 선과현대사회 (Seon & Contemporary Society)

    현대사회의 정신적 질환, 생태, 환경오염, 가족문제, 빈부갈등 등 수많은 과제에 대해 원인 은 무엇이고 현대적 해법은 무엇인지 이에 대한 선적 대안과 활로를 모색한다.

    The searching for the alternative and derection of Seon on the causes of various problems such as mental problems, environmental crisis, family problems and the conflict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 BIS2017 불교교단사 (History of Buddhist Community)

    붓다의 이념을 따르는 불교 공동체에 대한 학이다. 붓다의 성도 후 붓다의 가르침을 따라 함께 사는 집단을 불교교단이라고 부른다. 교단을 성립되면서 이를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의식과 규율을 필요로 한다. 갈마 자자 포살등과 바라제목차 등이 그것이다. 교단사을 통해 우리는 불교교단이 어떻게 발전 전개되었는가를 이해할 수 있다.

    The History of Buddhist Community is the study of Buddhist communities that worship Buddha’s thought. The Buddhist community means a group that lives together and pursues the teachings of Buddha who became enlightened. As the community was established, many rites and precepts were needed to maintain it, for example, the ritual of practice, the ritual of repentance, the ritual of abstention and repentance and the precepts for Buddhist monks and nuns. This class familiarizes students with the development process of Buddhist communities.

  • BIS2019 고전요가 (The Classical Yoga)

    힌두교의 여러 종파에 큰 영향을 미친 이원론의 특성 및 이와 연관된 고전 요가철학의 종교적 철학적 의의를 이해한다. 특히 빠딴잘리의 고전 요가체계를 학습함으로써 인도의 신비주의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A purpose of this course is to understand the religious and philosophical significance of Classical Yoga in addition to the character of dualism that is inseparably related to Classical Yoga. Especially students study the Yoga system of Patanjali in order to understand the mysticism of India in general.

  • BIS2020 자이나사상 (Jainism)

    인도 정통 종교에서 외도로 지칭되는 대표적 종교로서의 자이나교는 불교와 매우 유사한 특징들을 보인다. 자이나교의 역사와 교리에 대한 개론적 파악을 목적으로 하며, 특히 자이나교의 발생, 변천, 종파, 현황, 교조의 생애, 자이나교의 형이상학, 자이나교의 인식 및 해탈론에 대하여 학습한다.

    Jainism has been one of the major sramanic religious traditions in India. This lecture aims as understanding the historical and doctrinal contents of Jainism through examining various cultural and religious settings of India and through looking at the Jain's metaphysics, epistemology and ethics.

  • BIS2021 아비달마 (Abhidharma Buddhism)

    이 강좌는 불교학의 토대가 되는 아비다르마불교에 대한 개괄적 고찰이다. 아가마에서 아비다르마에로의 발전 단계를 알아보고, 法(dharma)의 체계, 물질과 마음, 번뇌, 선과 악, 그리고 실천의 道 등 아비다르마교학에서 다루는 주요 문제들을 교재를 중심으로 공부한다.

    This course is a general survey of Abhidharma Buddhism. After a breif introduction to its canonical literature, it deals with the development of Abhidharmamic philosophical systems, such as the Sarvastivada. This course focuses on investigating the basic concepts of Abhidharma Buddhism, such as dharma, the consciousness process, karma and rebirth.

  • BIS2023 중국선사상 (Chinese Seon Thoughts)

    중국선의 도입과 전개, 주요 선사와 그 사상, 수행법, 선기풍, 지도방법, 사회와의 관계 등 중국선의 전반에 대해 이해한다.

    The understanding the history and thoughts in Chinese Seon.

  • BIS2025 반야사상 (Philosophy of Prajna)

    이 과목은 반야의 본질, 반야를 얻는 과정과 방법 등을 다룬다. 이를 연구하면서 반야경을 비롯한 대승경전과 논서들을 읽는다.

    This subject is concerned with the essence of prajna, the process and method of gaining prajna. While studying it, we read the scriptures and treatises of Mahayana Buddhism including Prajna Sutra.

  • BIS2027 승가수행학(Ⅰ) (Theory of Practice for Buddhist Shanga(Ⅰ))

    본 강좌는 불교대학에 재학중인 대한불교 조계종 승려의 소양과 자질을 함양케 하기 위해 개설된 교육과정으로서, 불교계와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가를 초빙하여 현대사회에서 불법 의 포교에 필요한 이론을 학습한다.

    This course is opened to cultivate the refinement and qualification of the monks and nuns of the Korean Buddhist Chogye Order who are in the colleges of Buddhism. Through the guide of the specialists in the field of Buddhism and other spheres, they learn the theories and methods needed in the process of propagation of Buddhism in modern society.

  • BIS2028 승가수행학(Ⅱ) (Theory of Practice for Buddhist Shanga(Ⅱ))

    본 강좌는 불교대학에 재학중인 대한불교 조계종 승려의 소양과 자질을 함양케 하기 위해 개설된 교육과정으로서, 불교계와 다양한 분야에서 전문가를 초빙하여 현대사회에서 불법 의 포교에 필요한 이론을 학습한다.

    This course is opened to cultivate the refinement and qualification of the monks and nuns of the Korean Buddhist Chogye Order who are in the colleges of Buddhism. Through the guide of the specialists in the field of Buddhism and other spheres, they learn the theories and methods needed in the process of propagation of Buddhism in modern society.

  • BIS2031 범어입문 (Introduction to Sanskrit)

    범어는 인도 철학과 불교의 올바른 이해를 위해 필수불가결한 언어이며 원전 이해의 바탕 이 된다. 본 과정에서 범어의 언어학적 특성, 문법 구조, 분자와 발음법, 음운 규칙과 기초 적 문장의 해독, 작문 능력을 배양함으로써 앞으로의 심도 있는 학습의 기초를 다진다.

    Sanskrit is an essential language for comprehension of Indian Philosophy and Buddhism. In this class, we are mainly concerned with the alphabets, the rules of pronunciation, the grammatical structure, and the basic composition of Sanskrit.

  • BIS2034 종교학개론 (Introduction to Religious Studies)

    종교학의 발달과정과 연구방법을 알게 하고 다양한 종교현상을 유형별(교리, 경험, 제의, 윤리, 사회, 문화)로 고찰하여 종교문화에 대한 보편적인 조망과 인식을 갖도록 한다.

    Understanding human religiosity through the study of various religious phenomenons, i.e., beliefs, symbols, myth, ethics, experience, doctrine, ritual, and social formations as they are displayed in the world religions.

  • BIS2035 한국선사상과 조계종사 (Korean Seon thoughts and the history of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한국에 선이 전래된 이후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선사상의 내용과 흐름을 고찰한다. 또한 시대와 선사禪師에 있어서 선사상 특징과 역할을 이해한다. 그리고 조계종 성립과 전개에 대한 역사를 전반적으로 이해한다.

    This subject studies the flow and contents of Korean Seon thoughts from the transmittance of Chinese Chan (Seon) to the modern Korea and also researches the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Seon Masters of each times. In addition to that, this course studies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Jogye Order of Korean Buddhism.

  • BIS2036 불교문화의 이해 (Understanding of Buddhist Cultural Contents)

    불교문화콘텐츠는 불교적 입장에서 불교적 가치를 지향하며, 불교의 문화유산, 생활양식, 이와 관련된 사회적 제반 현상 등을 소재로 하여 창의적인 방법으로 제작된 문화콘텐츠이다. 본 강좌는 불교문화재(성보)의 이해, 관리, 활용과 사찰의 구성, 법당, 전각 등의 주요 건축물 그리고 불상, 수인, 불보살 등 불교문화에 관한 다양한 문화콘텐츠 개발 사례와 과정을 살펴보고 이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불교가 지니고 있는 무한한 창작의 소재를 발굴할 수 있도록 안내할 것이다. 아울러 다양한 불교문화를 콘텐츠화하여 어떻게 알거리, 볼거리, 먹을거리, 놀거리로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인지 살펴볼 것이다.

    Buddhist cultural contents are cultural contents produced by creative methods based on subject matters such as the cultural heritage of Buddhism, lifestyles and related social phenomenon, and pursuing Buddhist values. This class examines various examples of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 and the process on understand, administration, application of Buddhist cultural assets(holy relics), main building of composition, sanctum, mansions of temple and Buddhist culture of buddhist statue, hand sign, Buddha & Boddhisattva etc. This class will guide students to cultivate creativity that Buddhism provides. Moreover, this class explores the way to produce something to know, something to show, something to eat and something to entertain by creating various Buddhist cultural contents.

  • BIS2040 불교·법·경영 (BuddhismㆍLawㆍManagement)

    본 과정은 과학기술 문명의 눈부신 발전에 따른 학문의 융ㆍ복합 추세에 발마추어, 불교 종립대학인 동국대에서 불교와 법 그리고 경영(세무-회계)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갖춘 학습을 하고자함을 목적으로 한다. 그를 위해 부처님의 가르침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국가와 사회의 민주화와 개방화에 따라 그동안 신성불가침의 영역으로 간주되던 종교의 영역에 대한 실정법의 개입의 실태와 그 한계 그리고 특히 종교 과세와 함께 법치적 사찰경영이 요구되는 현실에서 법과 경영에 대한 보편적인 이해를 갖춘 종합 지식인을 양성함을 목표로 한다.

    Usually religion has its own laws. For example, Canon law is the body of regulations made by Church leadership, for the government of a Christian organization or church and its members and the same is the buddhism. According to the democracy and openness of the society, positive laws which are so called man-made law frequently permeate to the territory of religion by means of taxation and administrative regulation. Because law is deeply implicated in our economic, political, and social world, pursuit of social change invariably involves an engagement with law. And then what effects does law have? Tax has become an important governmental tool for influencing many aspects of modern civil life. Does religion also should be led to comply with the laws including tax rules? From this perspective, this course will survey and study the field of buddhism, law, management and taxation. This course will also address the tension between functional, economic arguments and those phrased in moral terms. This course is aimed at a general audience of students; no background in religion, law and economics is needed to take it. This course examines not only the concept of taxable income, but also how the government uses the tax to influence the behavior of taxpayers across the income spectrum.

  • BIS2041 융복합적 종교심리와 경전해석 (Pychology of religion and interpretations of Buddhist scriptures' of convergence)

    본 과목에서는 단순히 경전의 원전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방식을 넘어, 4차 산업 혁명 시대 를 맞이한 시대정신을 반영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타 학문과의 접목을 통해 경전 해석을 시도한다. 4차 산업 혁명의 발달로 로봇이나 인공지능을 비롯한 정보통신기술은 무서운 속 도로 발전하고 있다. 그로 인해 우리의 삶의 변화도 빠르게 진행되는 중이다. 따라서 불교 의 기존 해석법만 가지고는 지금 시대에 불교를 어떻게 반영할 수 있는지에 대해 제시하기 가 쉽지 않다. 그러므로 본 과목에서는 융복합적 학문 결합을 통해 경전에 대한 현대적 해 석을 시도하고, 이를 통해 시대에 뒤따르는 문제들의 답을 불교가 어떻게 던져줄 수 있는지 탐색해보려 한다. 그리고 그 중 하나로 다양한 종교 사상과 현대 심리학 연구들의 결합을 시도한 종교 심리 관련 연구들을 살펴보고, 이것이 불교 사상과 어떻게 연관성을 가질 수 있으며, 현대적으로 적용가능한지, 그리고 이 시대를 이해하는데 어떻게 쓰일 수 있는지 살 펴보려 한다.

    In this subject, we will interpret Buddhist scriptures by combining with other disciplines to reflect the spirit of the times i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With the developing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ICT) is developing at a rapid pace. our life changes rapidly, too. With existing interpretations of Buddhist scriptures, it is not easy to present to modern people how the interpretations could consider problems in this era. Therefore, in this subject, we will try to make a new modern interpretation of scriptures through other studies, and explore answers to these problems. To this end, we go through diverse studies of religious psychology, we could find how it associates with Buddhist thought. Also, we will study how these processes could help to understand human beings and this era.

  • BIS2042 세방화시대영어와불교 (Buddhism and English into the era of Globalization)

    동양과 서양의 문화적 차이를 바탕으로 불교의 이해를 도모하여 지구촌시대를 대비한 자질 을 갖추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불교는 동양으로 대변되는 아시아의 모든 국가와 민족을 하나로 묶을 수 있는 유일한 종교로서 서구사회에 아시아적인 가치를 널리 알리고 있는 종 교라고 할 수 있다. 불교가 갖는 범세계적인 가치를 바탕으로 각각의 지역에서 그 지역의 문화의 옷을 입고 지역화 하는 불교의 모습을 통해 동양과 서양의 다양한 문화와 종교를 함께 이해하는 틀을 갖추도록 한다.

    This lecture aims at developing global attitues to understand cultural diversities between the East and the Wast through Buddhist perspectives. Buddhism is said to be the only rigion which penetrates all partof Asian countries and people, while well known to the West with possitive Asian value and practice. Buddhism together with its universical value and wisdom has spread all around world. When it arrived to a certain place Buddhim dressed with local culture and became successfully localised with people living there. By undetstanding Buddhist ability to be with globalisation as well as with localisation, students will learn how to see the diversity of various religions and culture in the contemporary society.

  • BIS2045 불교언어와문헌 (Buddhist Languages and Manuscripts)

    인도 북서부의 파키스탄과 아프카니스탄의 산악지역과 중앙아시아의 코탄과 같은 사막 지역에서 수많은 불교 필사본들이 새롭게 발견되고 있다. 1000-2000년 이상 오랫동안 땅속에 묻혔던 고대와 중세의 불교 문헌들이 새롭게 발견되어 세상으로 나오고 있다. 여기에는 한문번역으로만 알려저 있었던 중요한 초기불교와 대승불교의 문헌들이 포함된다. 본 강좌는 근현대 시기에 새롭게 발견된 다양한 불교 필사본들을 소개하고 각각의 필사본에 사용된 언어와 문자 그리고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불교의 언어와 문헌을 체계적으로 이해한다.

    Numerous Buddhist manuscripts have been discovered at the mountainous areas of Pakistan and Afghanistan in northwestern India and at desert areas, such as Kotan, in Central Asia. Ancient and medieval Buddhist texts buried in the ground for more than 1000-2000 years were newly discovered and coming out into the world of Buddhist scholarship. These include some of the important early Buddhist tests as well as Mahayana texts known only in Chinese translations. This course introduces various Buddhist manuscripts newly discovered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and offers systematic understanding of Buddhist languages and manuscripts by examining the language, script, and content in those manuscripts.

  • BIS2046 동남아시아불교 (Southeast Asian Buddhism)

    동양과 서양의 문화적 차이를 바탕으로 불교의 이해를 도모하여 지구촌시대를 대비한 자질을 갖추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불교는 동양으로 대변되는 아시아의 모든 국가와 민족을 하나로 묶을 수 있는 유일한 종교로서 서구사회에 아시아적인 가치를 널리 알리고 있는 종교라고 할 수 있다. 불교가 갖는 범세계적인 가치를 바탕으로 각각의 지역에서 그 지역의 문화의 옷을 입고 지역화 하는 불교의 모습을 통해 동양과 서양의 다양한 문화와 종교를 함께 이해하는 틀을 갖추도록 한다.

    This lecture aims at developing global attitues to understand cultural diversities between the East and the Wast through Buddhist perspectives. Buddhism is said to be the only rigion which penetrates all partof Asian countries and people, while well known to the West with possitive Asian value and practice. Buddhism together with its universical value and wisdom has spread all around world. When it arrived to a certain place Buddhim dressed with local culture and became successfully localised with people living there. By undetstanding Buddhist ability to be with globalisation as well as with localisation, students will learn how to see the diversity of various religions and culture in the contemporary society.

  • BIS4004 중관학 (Philosophy of Madhyamika)

    이 과목은 용수의 『중론』을 비롯한 논서들이 성립하게 된 사상적 배경, 이 논서들이 이후의 중관학파와 유식학파에 미친 영향, 용수의 『중론』과 성천의 『사백론』을 주석해 나간 역사, 유식불교를 수용한 후기중관학파의 사상, 후기중관학파와 티베트불교의 관계를 다룬다.

    This subject is concerned with the ideological background Nagarjuna's treatises such as 『Madhyamakakarika』 are written, their influence on the later Mahayana Buddhism including Madhyamika and Yogacara school, the history of the commentaries on Nagarjuna's 『Madyamakakarika』 and aryadeva's 『Catusataka』, the thought of the later Madhyamika school that accepted the Yogacara Buddhism, the relation between the later Madhyamika school and Tibetan Buddhism.

  • BIS4002 계율학 (Study of Buddhist Precepts and Rules)

    불교인이 준수하여야 하는 윤리와 규범에 대한 학이다. 계율은 계와 율의 합성어이다. 계는 규율은 자발적인 도덕 윤리이며 율은 타율적인 규범이라는 의미를 지닌다. 율은 승단의 규 율이다. 불교교단이 성립됨에 따라 교단 질서 유지를 위한 다양한 규율을 의미하며 이를 위반할 시에 이에 대한 벌칙이 따른다. 이에 대한 설명은 율장을 통해 이해될 수 있다. 계율 은 따라서 불교교단의 질서유지를 위한 역할을 한다. 계율은 역사와 사회에 따라 시대정신 을 살려 다양하게 해석되고 발전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계율학을 통해 우리는 불교의 윤 리 사회 문화의 제반에 대하여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The Study of Buddhist Precepts and Rules is the study of ethics and norms that Buddhists should keep. The phrase of ‘precepts and rules'is a conjugation of two words. Precepts stand for willing ethical disciplines, and rules stand for other-directed norms. The rules are disciplines of Buddhist communities. As the Buddhist community was established, the rules represented various disciplines required to maintain order in the community, and those who violated the rules suffered punishment. The book of rules helps to understand this. Buddhist precepts and rules play a role in keeping order in Buddhist communities. The precepts and rules have been variously interpreted and developed by reflecting the sprit of the times in different periods of history and society. This class provides basic understanding of Buddhist ethics, society and culture.

  • BIS4005 천태학 (Study of Tien-tai)

    중국에서 성립한 천태의 구조적 성격을, 천태대사의 생애와 저작 및 사상을 통하여 이해한 다

    Study of Tien-tai familiarizes students with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ien-tai established in China, examining thelife, works and ideas of Tien-tai.

  • BIS4006 한국선문헌연습 (The practice of Korean Seon literature)

    보조록과 태고록, 선가귀감 등 한국의 주요 선적들에 담겨진 내용들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 한국선의 핵심을 살펴본다.

    The investigation of the essentials of Korean Seon and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Korean Seon literature.

  • BIS4007 유식학 (Yogacara Buddhism)

    이 강좌는 전공 영어수업 과목이다. 대승불교의 꽃이라 불리는 유식사상을 영어교재를 통 해 쉽고 체계적으로 다룬다. 먼저 유가행파의 역사를 개괄하고, 유식학의 주요 개념을 세친 의 유식삼십송(영역)을 읽어가면서 알아본다.

    This course is a general survey of Yogacara Buddhism. After a general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the thoughts of this school, this course deal with Vasubhandu's Trestise in Thirty Stanzas translated in English.

  • BIS4011 인도인식논리학 (Indian Epistemology and Logic)

    인도의 논리학은 독특한 특징을 지니고 발달해 왔으며, 인도의 철학문헌을 비롯하여 불교 경전의 논리학에도 큰 영향을 끼쳐 왔다. 본 강좌에서는 실체론적, 실재론적 존재론에 바탕 한 힌두 정리학파의 인식론· 논리학을 원전에 입각하여 체계적으로 접근한다.

    This lecture deals with the Nyaya system, the realistic and ontological hindu philosophy, through reading the original Sanskrit text in order to understand Indian traditional and Buddhist epistemology and logic.

  • BIS4014 동아시아대승불교 (Mahayana Buddhism in East Asia)

    동아시아 대승불교성립의 역사적 배경과 대승불교의 당위성을 검토하고, 대승불교를 구성하고 있는 기본적인 사상을 고찰하여 이들 사상이 점차로 발전하여 가는 과정에서 상호 보완적이고 유기적인 관계에서 이해하도록 한다. 그리하여 대승불교가 동아시아로의 전파, 즉 서역에서 중국으로, 다시 한국과 일본, 내지 티베트와 서양으로의 전파까지를 전반적으로 살펴보게 될 것이다.

    In this course, students will study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the necessity of Mahayana Buddhism. This course will help students to understand in-depth study of basic thoughts composed of Mahayana Buddhism in their developing process complementarily. Students will examine how Mahayana Buddhism was propagated to East Asia, including Central Asia, China, Korea, Japan, Tibet and Western Society.

  • BIS4017 선문화론 (Seon culture theory)

    현대인의 다양한 삶의 영역에 깃든 선문화와 관련된 이론 및 실제를 살펴보고 바람직한 선문화의 내용 및 방법들을 고찰한다

    The examination of the contents and its methods of the desirable Seon culture through the theory and practice of the Seon culture which exists in various fields of the life of modern people.

  • BIS4018 사찰경영과 종무행정 (Temple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of Religious Affairs)

    출가수행자들의 수행의 장소로 출발된 사찰이 이제는 스님뿐만 아니라 모든 불교신자들의 신행의 장소가 되었다. 본 강좌에서는 물질만능의 자본주의 사회에서 모든 사람들의 정신적 안식처와 가르침의 장이 되어야 할 사찰의 바람직한 경영모습을 살펴본다. 아울러 불교 종단 업무에 적용되는 전반적인 관리기술이요 과학적 사고인 동시에 불교의 궁극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인력과 자원을 합리적으로 조직하고 운영하는 종무행정의 바람직한 모습을 찾아보도록 한다.

    The Temple should be a spiritual sanctuary as well as a teaching place. This course deals with temple management and administration of religious affairs to achieve the ultimate goal of Buddhism for the human being in the capitalistic society.

  • BIS4019 불교생태학 (Buddhist Ecology)

    불교와 생태학이 공유하는 관점인 상호의존성과 비실체성 등을 탐구함으로써 불교와 과학의 접점을 모색하고 불교를 현대적으로 해석한다.

    We research into the structure and principles of eco-system in the viewpoint of Buddhist conceptions, e. g. the interdependence - emptiness - interrespect. In terms of this research do we contribute to the Buddhist solution of the environmental crisis in the modern society.

  • BIS4022 간화선실습 (The practice of Ganwha Seon)

    간화선의 성립과 체계, 구조 등 간화선의 이론과 수행방법, 점검, 인가 등 간화선의 전반적 내용을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실제 실수를 한다.

    The comprehensive investigation of the formation, system, construction, meditative methods, checking, and recognition in Ganwha Seon.

  • BIS4027 불교사상과서양철학 (Buddhist Thoughts and Western Philosophy)

    사유의 근본문제들에 대하여 서양철학과 불교사상의 입장들을 비교 검토함으로써 현대적 의미에서 불교철학을 건립한다.

    We investigate the common problems of Buddhism and philosophy, e.g. the principles of human nature, the harmony of human beings & natural world, and the desirable criterion of the good and bad. Thereby do we search a contemporary interpretation of Buddhist thoughts.

  • BIS4032 위빠사나의이해와실습 (The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Vipassana)

    위빠사나의 수행법에 대해서 기본 이론과 호흡법, 알아차림 등 수행법을 살펴보고, 겸하여 실제 수행하는 시간을 갖는다.

    A survey of the basic theory, breathing technique, and Sati and practice.

  • BIS4033 화엄학 (Hua-Yen Studies)

    화엄경의 내용을 개관하고 인도, 중국, 한국의 화엄교사를 고찰하며, 법계연기, 화엄성기 등 일승화엄교학의 핵심교리를 해설하여 화엄사상을 이해하게 한다.

    This course aims at a comprehensive overview of Huayen studies, surveying Avatamsaka Sutra, the history of Huayen philosophy in India, China and Korea, and its main doctrines of One vehicle Huayen school, such as Dependent co-arising of the d harma-realm, Arising of the Buddha-nautre and so on.

  • BIS4036 중국선문헌입문 (Introduction to Chinese Seon[Chan] Literature)

    중국 선사상의 이해는 우선 중국 선서의 해독에서 이루어 진다. 중국 돈황에서 발굴된 선문 헌 중 선종사를 이해할 수 있는 등사(燈史)류와 각 시대별 선사들의 어록 등의 기초적 내용 들을 살펴보고 선사상과 역사,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It aims to train the basic skills for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Chinese Seon literature by generally dealing with the Seon doctrinal literature.

  • BIS4037 근현대인도사상 (Contemporary Indian Thought)

    인도철학은 전통의 단절 없이 새로운 시대적 상황에 유연히 적응해왔고 서구 문명과의 조 우를 통해 전통적 해석에 새로운 해석이 가해졌다. 특히 힌두 르네상스로 불리는 근대 인도 의 사회 개혁적 종교사상가들, 즉 라마끄리슈나, 비베카난다, 오로빈도, 간디, 타고르의 사 상과 라다끄리슈난의 사상을 조감한다.

    Indian philosophy has offered the uninterrupted and innovated method to give brand-new interpretation on traditional Indian thought in order to meet with the Western civilization. Modern Indian thinkers, such as Vivekananda and Orobindo could be the prime examples to show how flexible Indian thought is. This lecture will learn the newly innovated philosophy of those modern and contemporary Indian thinkers together with their life, their surroundings and their thought.

  • BIS4039 여래장의이해 (Understanding of the Tathagatagarbha)

    선 이해의 핵심 부분인 여래장사상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학습하여 선불교에서의 믿음과 깨달음에 대한 근원을 살핀다.

    This lecture will teach the basic understanding of the Tathagatagarbha. It will present a great opportunity to take a look at the awakening and the faith of the Seon Buddhism.

  • BIS4040 불교사회경제사상 (Social and Economic Thoughts of Buddhism)

    불교의 근본교리와 사상을 정치 사회 경제적 실천의 논리로서 재조명하고, 주요 관련 경전의 내용을 음미하여 현대사회의 제반 문제에 대한 불교적 대응 방안을 모색한다.

    Study of Buddhist sociology and economy : its formations, developments, and influences on societies.

  • BIS4041 불교의례의식(Ⅰ) (Theory of Practice for Buddhist(Ⅰ))

    본 강좌는 불교대학에 재학중인 대한불교 조계종 승려의 소양과 자질을 함양케 하기 위해 개설된 교육과정으로서, 승려가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불교 의례의식의 이론과 실제를 학습한다.

    The purpose of this lecture is to cultivate the groundings and qualities for the Korean Chogye Order Buddhist monks who study at Dongguk University. In this class, undergraduate Buddhist monks will study and master the fundamental theories and actual techniques of Buddhist rituals that are required for trainee monastics.

  • BIS4043 불교의례의식(Ⅱ) (Theory of Practice for Buddhist(Ⅱ))

    본 강좌는 불교대학에 재학중인 대한불교 조계종 승려의 소양과 자질을 함양케 하기 위해 개설된 교육과정으로서, 승려가 기본적으로 알아야 할 불교 의례의식의 이론과 실제를 학습한다.

    The purpose of this lecture is to cultivate the groundings and qualities for the Korean Chogye Order Buddhist monks who study at Dongguk University. In this class, undergraduate Buddhist monks will study and master the fundamental theories and actual techniques of Buddhist rituals that are required for trainee monastics.

  • BIS4046 종교심리학 (Psychology of Religion)

    종교심리학의 일반적인 개괄을 이론적인 측면에서 살펴보는 데에 목적을 두고, 그 이론들이 종교학이라는 학문 분야에 어떤 영향을 미쳐왔는지 고찰한다. 특히 주요 종교심리학자들의 주장과 연구 사례들을 중심으로 종교심리학 전반과 관련 연구주제들에 대한 기초적 이해를 도모한다.

    Psychology of religion consists of the application of psychological methods and interpretive frameworks to religious traditions, as well as to both religious and irreligious individuals. This course investigates how religious expressions are treated by major psychological theorists such as Freud, Jung, and James.

  • BIS4045 한국불교사상과 한국종교 (Korean Buddhist Thought & Korean Religion)

    한국의 토양과 기후 및 기질과 문화 속에서 오랫동안 숙성되고 발효되어온 한국불교는 천 신신앙, 산신신앙, 무속신앙을 아우르는 風流와 함께 한국의 대표적 종교로서 한국인들의 사유체계와 관념체계를 만들어 내었다. 즉 한국불교는 空’과 ‘有’의 기호를 통해 중관과 유 식으로 대표되는 대승불교를 정초한 인도불교와 ‘理’와 ‘事’의 기호를 통해 천태와 화엄 및 선법과 정토의 일승불교를 건립한 중국불교와 달리 ‘性’과 ‘相’의 기호를 통해 화엄과 유식 내지 선법과 화엄을 아우른 ‘일승’ 및 ‘일대승’의 불교로 나아가 ‘비빔’을 넘어선 ‘달임’(곰) 의 불교를 완성하였다. 이 강의에서는 소승의 상대되는 대승을 넘어선 ‘일승’과 그 일승 안 에다 소승의 상대로서 부정되어온 대승을 다시 껴안은 일대승’불교를 일구어온 한국의 대 표적 종교인 한국불교사상의 종합성과 독자성을 살펴볼 것이다.

    Korean Buddhism, which has been matured and fermented in soil, weather, nature and culture of Korea, has created recognition systems and concept systems of Korea people as Korean representative religion with Pungryu interpenetrated Cheonsin Devotion, Sansin Devotion and Shaman Devotion. In other words, Korean Buddhism completed the Buddhism of ‘mix’ and ‘boiling’ while advancing to ‘one vehicle’ or ‘one Mahayana’ Buddhism, which harmonizes Huayan and Vijnanavada or Chan and Huayan through the sign of ‘nature’ and ‘character’ unlike Indian Buddhism, which established the foundation of Mahayana Buddhism represented by Madyamika and consciousness-only through the sign of ‘emptiness’ and ‘existence’ or Chinese Buddhism, which founded one vehicle Buddhism of Tiantai, Huayan, Chan and pure land through the sign of ‘principal’ and ‘affair’. The purpose of this lecture is to research synthetic and unique character of Korean Buddhism Philosophy, Korean representative religion, which created ‘one vehicle’ Buddhism beyond Mahayana being opposite to Hanayana and ‘one Mahayana’ Buddhism embracing Mahayana being denied as an opposite Buddhism of Hanayana.

  • BIS4047 세계종교 (World Religions)

    세계 여러 민족의 삶과 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온 다양한 종교 전통들의 기원과 성장 및 전개과정 등, 그 역사적 흐름을 객관적 입장에서 이해한다.

    Objective study of world religions: their origins, developments, and histories. Special attention will be given to the issue of the historical nature of religions and hermeneutical method of interpretations.

  • BIS4049 명상과 아동·청소년 상담 (Meditation and Counseling Children and Adolescents)

    아동과 청소년기의 특성을 이해하고 성장기에 발생하는 문제와 주제들에 대한 해결방법을 다양한 관점에서 탐색한다. 또한 상담심리현장에서 활용되는 명상의 장점을 이해하고 아동 과 청소년 상담에 유용하게 쓸 수 있는 명상법을 배운다.

    In this course students will develop an understanding of counseling related issues confronting children and adolescents that may impede personal, social, or academic success, and overall development. This course also focuses on developing the ability to synthesize meditation and psychotherapeutic skills for counseling children and adolescents.

  • BIS4053 선심리상담 이론과 실제 (캡스톤디자인) (Theory and Practice of Seo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capstone design))

    마음에 대한 불교이론에 새로운 시각을 던져 준 선불교는 마음의 고통에서 벗어나는 길을 안내하는 차원 높은 심리치료법이다. 이 과목은 상담심리학에서의 선의 역할에 대한 이론 학습과 선심리치료의 실습을 통하여 선의 본질과 불교심리학의 정수를 함께 이해하는 기회를 제공한다.

    Seon, derived from the Buddhist theory of mind, offers sophisticated psychologies to guide the way to break free from mental distress. This class enables students to understand the essence and perspectives of Buddhist psychology by practicing Seon counseling and studying theory of Seon psychotherapy.

  • BIS4055 불교윤리학 (Buddhist Ethics)

    붓다의 가르침은 끊임없이 재해석되고 또 일상생활에 적용될 때 그 현대적 의미를 획득할 수 있다. 이 강좌는 현대사회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윤리적 갈등상황들에 대한 불교윤리적 해법을 함께 모색하고 토론하는 수업이 될 것이다.

    I think that Buddha’s teachings should be reinterpreted and applied in our everyday life constantly. Then it could acquire the modern meanings for us at the moment. This lecture will give the opportunity for students to discuss about many ethical dilemmas of our society and find out their own reply for it.

  • BIS4056 인도의 신화와 문학 (Hindu Mythology and Literature)

    인도의 신화와 문학은 인도 문화의 원천일 뿐만 아니라, 불교에도 많은 영향을 끼쳤다. 이러한 신화와 문학은 종교와 철학, 문화 전반에 걸쳐 동서양으로 구분할 수 없는 독특한 인문학을 형성해 왔다. 이것은 오늘날 발리우드(Bollywood)로 불리는 인도 영화의 원동력이면서, 자타카(본생담), 불소행찬 법화경 등과 같은 불교 문학을 탄생시킨 근원이기도 하다. 본 강좌는 종교와 철학의 근본 토대인 신화와 문학을 통해, 인도의 사유와 불교가 창의적으로 활용되고 응용될 수 있게 하는 사고력을 계발하고자 한다.

    Hindu mythology and Literature were not only a source of Hinduism but a great influence on Buddhism. These myths and literatures have been formed a unique system that can not be distinguished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through religion, philosophy, and culture. It is also the source of Indian cinema called Bollywood today, as well as Buddhist literature such as Jataka, Buddhacarita, and Lotus Sutra. Through the myth and literature which are the foundation of religion and philosophy, this lecture aims to develop the thinking ability that can be used creatively and applied to today's reason and Buddhism.

  • BIS4057 명상과 가상현실 (Meditation and Virtual Reality)

    이 강좌는 학생들로 하여금 빅테이터, 인공지능, 가상현실을 명상수행에 활용하는 융합기술에 대해 이해하고 체험할 수 있도록 돕는데 초점을 둔다.

    This course focuses to help students' understanding and experiencing of convergence technology using big data, artifial inteligence, or virtual reality into meditation practice.

  • BIS4058 인도고대철학 (Ancient Indian Philosophy)

    불교와 힌두사상을 잘 이해하기 위해서 베다로부터 우빠니샤드로 이어지는 고대인도철학 을 잘 알아야 한다. 이 강좌는 베다로부터 우빠니샤드로 이어지는 브라만 전통을 다양한 언어적 문화적 배경을 통해서 이해하고 인도불교가 탄생하게 된 사회적 문화적 종교적 토 대를 알아본다.

    In order to understand Buddhism and Hindu thought well, We must know the ancient Indian philosophy from Veda to Upanishads. This course give students the knowledge in which the Brahman tradition from Veda to Upanishads through various linguistic, cultural, and social backgrounds in India. Through this studies we can understand the background of Indian Buddhism more well.

  • BIS4059 초기경전산책 (Ancient Indian Philosophy)

    불교를 이해함에 있어서 빨리경전으로 대표되는 초기경전을 다루는 것은 중요하다. 경·율· 론으로 구성된 빨리삼장은 불교의 세계로 들어가는 문으로서 불교의 든든한 기초가 된다. 본 강좌는 초기경전의 경장과 율장을 중심으로 주요한 경전들을 살펴보면 초기불교의 다양 한 측면들을 살펴본다. 그리고 빨리어로 경전을 직접 읽어 나가면서 붓다의 언어를 이해하 고 붓다의 가르침에 접근해본다.

    In understanding Buddhism, it is important to deal with the early Buddhist texts, especially Pali Buddhist text consisting of sutta, vinaya, and abhidhamma. Those early texts could serve as a strong foundation for understanding Buddhism and as a gateway to the world of Buddhism. This course examines various aspects of early Buddhist texts by examining the major scriptures, focusing on various early suttas and vinayas. By reading those texts in Pali, one can understand the language of the Buddha as well as the teachings of the Buddha.

  • BIS4060 돈황학 (Dunhuang studies)

    중국 감수성의 서북부에 위치한 돈황은 동아시아불교의 요람이다. 실크로드의 주요 통로에 자리잡고 있으면서 불교 예술의 역사적 문화적 중심지이다. 현재에도 불화를 비롯한 미술 자료를 간직한 많은 동굴이 보존되어 있다. 특히나, 1900년에는 4세기에서 11세기에 걸쳐 쓰여진 것으로 추정되는 50,000여 권의 필사본이 발견되어 불교학적 중요도를 더하고 있 다. 이들 필사본은 주요한 불교 걍론에 대한 것으로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귀중본도 있다. 이 강좌는 이러한 돈황의 역사와 문화, 예술을 다룬다. 더하여 현대학계에서 돈황학이 어떻 게 연구되고 있는지도 소개한다.

    Dunhuang in the north-western part of Gansu province in China is considered a cradle of Buddhism in East Asia. Located in a main route of Silk Road, it is one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centers of Buddhist art. Up to today there survived more than 700 caves which illustrate a distinguish feature of Buddhist paintings. In year 1900, there were revealed about 50,000 monuments of written and artistic culture dated back to the 4th to 11th centuries. Among them there are ancient Buddhist texts, silk engravings and depictions of the Buddha. This course deals with the history and culture of Dunhuang, It also introduces how the Dunhuang manuscripts have been studies in modern scholarship,

  • BIS4061 일본의불교와문화 (Japanese Buddhism and Culture)

    일본의 불교는 한국의 불교와 마찬가지로 중국에서 한역된 경전들을 중심으로 하여 형성되 었다. 그렇지만 동일한 한문경전을 토대로 하여 이루어졌다고 해서, 양자의 차이가 없는 것 은 아니다. 한국불교와 공통하는 부분도 있지만, 다른 독창적인 불교가 전개되었다. 특히 일본의 역사는 고대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불교문화를 제외하고서는 말할 수 없을 정도 이다. 문학, 예술, 민속, 사상, 철학, 생활 등 일본의 문화 속에 불교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역할을 했는지 살펴보게 된다.

    Japanese Buddhism has been formed on the Chinese tripitaka as Korean Buddhism. But, even though Korean Buddhism and Japanese Buddhism has some common aspects, we can find out that there is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Buddhism and Japanese Buddhism. Especially we can not imagine Japanese Literature, Art, Folkways, Thoughts, Philosophy, Lives etc. without Buddhism. So we need to study the relation between Japanese Buddhism and its culture.

  • BIS4062 티벳의언어와문화 (Tibetan language and culture)

    이 코스는 티벳의 언어와 문화를 소개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들은 한 학기동안 고전 티벳어를 어떻게 읽고 쓰는지 배울 수 있으며, 티벳 불교가 가지고 있는 특수성과 그것의 성립과정을 이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 강의에서는 티벳 고유의 문화적, 역사적, 종교적 맥락 안에서 티벳불교와 티벳어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This course is designed to introduce students to Tibetan language and culture. Students will learn to read, write, pronoun the classical Tibetan, accurately, and further understand the unique culture in Tibetan Buddhism and its development in general. To achieve this, the course will provide an overview of Tibetan Buddhism and classical language within its cultural, historical, and religious contexts.

  • BIS4063 빨리어 입문 (Introduction to Pāli)

    빨리어 문법의 습득을 통해 초기불교 경전을 해독할 수 있는 기본 어학 능력을 키우는 수업을 한다. 기초적인 문장을 선별하여 이를 문법적으로 이해하고 문장의 구성을 이해하는 연습을 반복한다.

    It is a class that develops basic language skills to decipher the early Buddhist scriptures through the acquisition of English grammar. After selecting a basic sentence, repeat the practice of understanding it grammatically and grasping the structure of the sentence.

  • BIS4064 히말라야 불교산책 (Introduction to Himalayan Buddhism)

    천년이 넘는 시간 동안 히말라야 일대에 사는 이들은 인도 중국과는 별개의, 자신들만의 고유한 불교 전통을 발전시켜 왔다. 인도 대승불교, 그중에서도 특히 중관, 유식학파에 깊게 뿌리내리고 있는 히말라야 불교 전통은, 점진적이고 강도 높은 명상 수행에 대한 강조와 대자연에 순응하는 환경친화적인 생활 방식 등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 강의의 목적은 히말라야 지역, 즉 티벳, 네팔, 부탄, 인도와 중국 일부에 자리한 불교 전통의 역사적, 문화적, 철학적 특징을 이해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히말라야 지역의 불교와 그곳에서 발전하고 있는 문화를, 학계의 최신 연구성과를 반영하여 알기 쉬운 형태로 제공할 것이다.

    For over a thousand years, Himalayan people preserved a unique form of Buddhism that was originally “invented” and practiced in ancient India. The hallmark of Himalayan Buddhist tradition is a gradual approach to meditation, intensive spiritual practice, and an ethical way living deeply deeply rooted in the teaching of Mahāyāna Buddhism, more specifically those of the Madhyamaka and Yogacara. The course aims to introduce the students knowledge on general Buddhist history, philosophy, and cultural heritages in Himalayan region in Tibet, Nepal, Bhutan, as well as in some parts of China and India. This course will provide concrete base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Buddhism in this broad cultural region and those who live in it.